더존실무/소득세

종합소득세 신고도움서비스 - 소득세 [1]

웅세무사 2023. 6. 19. 21:42
반응형

종합소득세 신고도움서비스

종합소득세 신고도움서비스는 소득세 신고전 반드시 뽑아놔야 하는 자료입니다. 종합소득세 신고도움 서비스와 연금건강고용산재보험료조회에서 각각 자료를 인쇄할 예정입니다.

미리 보기를 눌러 인쇄를 합니다.


안내유형, 신고 시 도움이 되는 사항 안내

안내유형에는 성실신고확인대상자, 외부조정 대상자, 자기 조정 대상자, 신고 시 도움이 되는 사항 안내가 있습니다. 성실신고확인대상자는 세무사가 성실신고확인을 해줘야 합니다. 흔히 말하는 성실사업자입니다. 성실사업자는 6월 30일까지 소득세 신고 및 납부를 해야 합니다. 외부조정대상자와 자기 조정대상자는 일반적인 소득세 신고대상입니다. 5월 31일까지 신고 및 납부를 해야 합니다. 세무대리인으로서 신고를 할 때 중요한 것은 성실/비성실 여부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신고 시 도움이 되는 사항 안내입니다. 말이 도움이 되는 부분이지 사실상 신고를 똑바로 하라는 경고입니다. 주로 동종업종대비 소득률이 낮은 경우에 나옵니다. 

 

기장의무

기장의무는 복식부기의무자와 간편 장부대상자로 나뉩니다. 복식부기의무자는 흔히 말하는 기장을 해야 하며, 간편 장부대상자의 경우에는 간단하게 금액만 입력하여 소득세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추계 시 적용경비율

추계신고를 할 경우에 적용하는 경비율을 의미합니다. 추계신고란 장부를 작성하지 않고 수입금액에 %를 곱하여 비용을 인정해 주는 방식입니다. 


사업장별 수입금액

부가세 신고가 들어간 금액 또는 프리랜서 등 사업소득을 신고한 금액이 표시됩니다. 여기서 중요하게 봐야 할 것은 사업형태입니다. 사업형태가 공동이라면 공동사업자 안분계산을 해줘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 외에도 사업장별 수입금액에는 신용카드발행세액공제 등 과 일자리안정자금 유류보조금도 포함됩니다. 이 경우에는 잡이익으로 잡아주어서 수입금액에 포함해야 합니다. 보조금 등의 종류가 다양한데 수입금액에 포함할지 안 할지는 각각 보조금마다 다르게 판단해야 합니다.

반응형

공동사업일 경우 이러한 보조금을 바로 장부에 잡이익으로 잡아서는 안됩니다. 왜냐하면 사업장별 수입금액의 경우 공동사업자 분배비율로 안분되어 나온 금액이기 때문이죠. 장부를 작성할 때는 공동사업 분배 전 총 보조금이나 신용카드발행세액공제 금액을 장부에 잡이익으로 계상하여야 할 것입니다.


타 소득 자료유무

타 소득이 있는 경우에는 사업소득에 더해서 종합소득세를 산출해야 합니다. 모든 항목에 X가 되어 있어도, 원천징수의무자가 뒤늦게 신고한 경우가 있을 수도 있으므로 일괄조회를 눌러서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합산과세되는 이자배당 소득이 있는 경우에는 세무대리인이 자료를 인쇄할 수 없으므로 납세자에게 요청하여 자료를 받고 합산신고하여야 합니다.

납세자 아이디로 로그인 후 종합소득세 신고 - 금융소득조회에서 금융소득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납세자의 공인인증서 또는 간편 인증이 필요합니다.

 


중간예납세액

전년도 소득세를 기준으로 당해 중간납부한 세액입니다. 해당금액은 종합소득세 신고서에 반영합니다.

종합소득세신고서-종합소득세


원천징수세액

프리랜서로 일하고 원천징수 당한 3.3%를 의미합니다. 이 금액도 종합소득세 신고서에 반영합니다.

종합소득세신고서-결손원천징수


국민연금 보험료

소득공제에 반영합니다. (=비용처리와 동일한 효과)

소기업소상공인공제부금

소득공제에 반영합니다. 한도제한이 있습니다.

종합소득세신고서-소득공제등


각종 가산세 항목들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가산세가 체크되어 있다면 반드시 포함하여 신고해야 합니다. 무신고 또는 무기장가산세의 경우 빨간 박스 안에 글씨가 있으면 과세됩니다. 위의 경우에는 추계 또는 간편 장부신고 시 무신고가산세를 부과하겠다는 내용입니다.

 


연금건강고용산재보험료 조회

납부한 4대 보험료를 비용처리하기 위해 조회해 줍니다. 주민등록번호를 치고 조회하면 됩니다. 지역가입자였던 기간이 있다면 총두장을 인쇄해야 합니다.

지역가입자 건보료 확인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는 보험료로 회계처리합니다.


직장가입자 건보료 확인

직장가입자 건보료는 아래와 같이 회계처리합니다.

사업자건강보험료(직장) - 복리후생비
사업자건강보험료(소득) - 보험료
사업장사용자부담건강보험료 - 보험료
연금보험료 - 세금과 공과
고용산재보험료 - 보험료

이렇게 두장을 인쇄하면 종합소득세 신고할 준비를 마친 것입니다. 다음 포스팅을 통해서 추가적으로 신고과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