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더존실무/법인세 10

대차대조표 처분(처리)전 결손금 차액발생 - 더존 위하고

재무상태표에 들어가니 이러한 오류가 뜨면 뭐가 문제일까요? 1.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를 갱신하고 전표추가를 다시 해보세요. 2. 그래도 오류가 난다면 회사의 원가구조를 살펴보세요 아래회사의 구조는 크게 상품매출과 공사수입금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상품매출의 경우 상품재고로 관리하지만 공사수입금은 600번대 비용계정을 이용합니다. 각 원가별 사용하는 계정과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공사수입금이 발생하였으므로 관련된 비용은 600번대이어야 하죠. 그렇기에 아래와 같이 600번대 제조원가 명세서를 작성을 하였고요. 결산자료입력 - 제조원가명세서 - 손익계산서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재무상태표까지 작업하였는데 위와 같은 오류가 뜬다면, 다른 범주의 비용을 넣은 것이 아닌지 확인해봐야 합니다. 즉, 600번대 비..

법인 결산 [6] - 자료입력 마무리(재고자산, 감가상각비)

매입매출정리, 급여정리, 부가세정리 등 자료 입력이 마무리되었으면, 이제 법인 결산 마무리를 해야 합니다. 법인 결산 자료입력 마무리는 아래의 순서대로 진행됩니다. 결산자료입력 제조원가명세서 손익계산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재무상태표 1. 결산자료입력 재고자산 조정 및 감가상각비를 반영하는 단계입니다. 기말상품재고액의 금액을 수정하면 당기 매출된 상품의 재고가 조정됩니다. 감가상각비반영은 [고정자산 - 월별감가상각비계상]에 저장되어 있는 값이 반영됩니다. 결산분개를 일괄적으로 삭제하고 싶을 때에는 일반전표입력에서 자동분개 일괄검색하여 삭제할 수 있습니다. 혹시 다른 전표를 지우면 안 되니깐 전체취소를 누르고 결산분개에 체크 후에 삭제하시면 됩니다. 2. 제조원가명세서 매출원가를 확인해 주면 됩니다. (위 ..

법인세 지방세 신고하기 - 더존 위하고

법인세 지방세 신고하기 법인지방세를 신고하기 위해서는 법인신고지방소득세과표신고서를 제출해야 하고, 법인지방소득세과표신고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법인지방소득세 과세및세액조정계산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다시 과세및세액조정계산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공제감면세액 및 추가납부세액합계표, 법인지방소득세 가산세액계산서(신), 법인지방소득세 특별징수세액(갑을병)이 작성되어야 합니다. 즉, 아래 세 가지 서식 중 해당하는 내용이 있다면 세 서식을 먼저 작성하고, 그 후에 과세및세액조정계산서를 작성, 마지막으로 법인지방소득세과표신고서를 작성하여 신고하시는 것입니다. 공제감면세액 및 추가납부세액합계표 지방세특례제한법 또는 지방자치단체별 조례에 의한 공제감면에 대해 작성하는 서식입니다. 작성방법 조회 후 작성합니다. 법인지방소득..

법인 결산 [4] - 급여

법인결산 - 근로소득 먼저 회계전표처리에서 근로소득/일용급여/사업소득 등을 입력해줘야 합니다. 먼저 근로소득 회계전표처리부터 보겠습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실지급액의 계정과목을 미지급비용으로 바꾸는 것입니다. 다른 계정과목을 사용해도 상관은 없으나 급여관련된 비용은 미지급비용으로 넣는 것이 관리하기 좋습니다. 우측 상단에서 적요 및 거래처등록을 해줘야 합니다. 4대 보험은 각 공단으로 거래처를 걸어주시고, 소득세 세무서로, 지방세는 시청, 구청 등으로 걸어주시면 됩니다. (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으로 거래처를 걸면 됩니다) 그 외 항목은 거래처를 걸어주지 않는데 상황에 따라서 거래처를 걸어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건강보험에서 환급금액이 발생한 경우 건강보험으로 거래처를 걸면 되고, 고용보험에서 환..

법인 결산 [完] - 법인조정

자료 불러오기 법인자료를 모두 입력하고 결산이 끝났으면 법인조정을 하여 법인세신고를 진행하여야 합니다. 표준재무제표, 표준손익계산서, 표준원가명세서(제조업인 경우),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를 불러와서 저장해야 합니다. 일반 법인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일반 법인용을 체크합니다. 금액이 다르다면 계정과목에서 표준용 코드가 걸려있지 않아서 그런 것이니 안 걸려있는 계정들을 확인하고 걸어줘야 합니다. 계정 과목 및 적요 등록 - 더존 위하고 계정과목 및 적요 등록하기 더존을 하다가 계정과목을 쓰려고 하는데, 없는 경우에는 새로운 계정과목을 만들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서비스매출이 있는 회사인데 등록되어 있는 매출은 상품매 taxtalk.tistory.com 불러오고 불러온 값을 확인하고 저장을 눌러주는 방식으로 표..

법인조정 - 가지급금 인정이자 조정(당좌대출이자율 적용)

가지급금 인정이자 대표가 법인에게서 이유 없이 출금한 금액을 가지급금이라고 합니다. 법인과 대표는 별개의 인격이기 때문에 이는 대표가 법인에게 돈을 빌려간 것입니다. 따라서 대표는 법인에 원금을 상환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빌린 돈에 대해서 이자를 지급할 의무도 있습니다. 이를 계산하는 것이 가지급금 인정이자 계산입니다. 표준용 코드를 보시면 가수금은 주주임원종업원단기차입금으로, 가지급금은 주주임원종업원단기대여금으로 공식적인 명칭이 바뀐 것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추가적으로 대체적요를 보시면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가수금이나 가지급금이 늘어나거나 줄어들 때, 적요코드를 걸어줘야 합니다. 대표자관련된 가수금/가지급금일 때에는 1번과 4번을 사용하지만 대표자 외의 경우에는 다른 번호를 사용합니다. 가..

위하고 통장 업로드 하는 방법 - 더존 통장엑셀 업로드

통장업로드 전 준비사항 업로드할 통장을 최초로 등록하는 것이라면, [거래처등록 - 금융]에서 거래처를 만들어 줘야 합니다. 또한 엑셀파일에 제목이 없다면 엑셀 제목설정을 하기 위해서 미리 제목을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위하고 통장 업로드 하는 방법 통장업로드는 [전표관리/자동전표처리 - 통장]에서 할 수 있습니다. 엑셀서식 불러오기를 통해서 파일을 찾고 불러옵니다. 엑셀 내역 중 제목행을 더존과 매칭해줘야 합니다. 먼저 제목행으로 보이는 1번 행을 클릭하시고, 엑셀제목설정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엑셀 제목란에 엑셀 내역이 들어옵니다. 액셀제목에 데이터가 들어왔으면, 제목행의 내용들이 데이터제목의 내용들과 매칭이 되는지 확인해 줍니다. 확인이 끝나면 만들어 두었던 금융거래처에서 해당통장을 선택하고..

법인 결산 [3] - 매입매출 정리

매출정리 법인 결산 중 입금내역에 관련된 매출정리를 해보겠습니다. 먼저 통장내역을 보겠습니다. 동탄역으로부터 입금액 18,138,090원이 있습니다. 통장에 입금되면 매출로 보고, 통장에서 출금되면 매입으로 봐야 합니다. 입금이 되었으므로 매출이고 따라서 보통예금의 상대 계정과목은 외상매출금[108]으로 분개를 끊어줍니다. 통장내용에 동탄역이라고 쓰여있으므로 외상매출금 중에 동탄역 관련 외상매출금이 있는지 확인해줘야 합니다. 거래처원장으로 와서 외상매출금으로 조회를 합니다. 그러면 외상매출금에 대한 내역들이 뜹니다. 동탄역 관련 외상매출금은 잔액이 18,138,090원입니다. 우리는 잔액 18,138,090원을 0원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세부내역을 보겠습니다. 이러한 내용이군요. 좀 전에 맨 위에서 7월..

법인 결산 [2] - 통장간 이체

통장간 이체부터 정리하면 좋은 이유 법인세 매입매출 결산을 하기 전에 먼저 해주면 좋은 작업은 통장간 이체내역들을 먼저 정리하는 것입니다. 통장을 정리할 때, 입금된 금액은 매출 관련, 출금된 금액은 매입 관련, 인건비 관련, 세금납부 관련으로 대략적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지만 통장이 여러 개 있어서 통장끼리 이체내역이 있다면 위처럼 정의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먼저 통장간 이체내역들부터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통장간 이체 정리하기 어느 통장부터 정리해도 상관없지만, 순서대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먼저 1번 통장에서 아래와 같이 전송해 줍니다. 차변 대변 보통예금 10,000 (거래처 : 2번통장) 보통예금 10,000 (거래처 : 1번통장) 전송 후, 2번 통장으로 가시면 4/9일 입금 분개가 중복전표..

법인 결산 [1] - 매입매출 개념정리

통장정리의 개념 - 매입/매출과 부가가치세 통장정리란 간단하게 말해서 재무상태표상의 자산/부채 계정과목의 잔액을 줄여나가는 것입니다. 먼저 매출이 발생했을 때를 살펴보겠습니다. 법인의 부가세 신고 시에 우리는 매출전표를 전송하면서 외상매출금을 만듭니다. 부가세 신고가 완료 되었다면 재무상태표에는 A회사에 대한 외상매출금 110이 남아있겠죠. 부가세신고를 마친 후에, 법인으로부터 통장내역을 받아 업로드합니다. 통장내역 중에 A회사로부터 입금된 110이 확인된다면, 외상매출금 110이 지워지는 분개를 합니다. 그렇다면 두 분개가 합쳐져서 현금분개처럼 되겠죠. 개인과 법인의 차이점이 이것입니다. 개인은 대부분 현금으로 분개를 끊기 때문에 통장정리가 필요 없습니다. 하지만 법인은 자산/부채로 분개를 끊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