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법인결산 4

법인 결산 [6] - 자료입력 마무리(재고자산, 감가상각비)

매입매출정리, 급여정리, 부가세정리 등 자료 입력이 마무리되었으면, 이제 법인 결산 마무리를 해야 합니다. 법인 결산 자료입력 마무리는 아래의 순서대로 진행됩니다. 결산자료입력 제조원가명세서 손익계산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재무상태표 1. 결산자료입력 재고자산 조정 및 감가상각비를 반영하는 단계입니다. 기말상품재고액의 금액을 수정하면 당기 매출된 상품의 재고가 조정됩니다. 감가상각비반영은 [고정자산 - 월별감가상각비계상]에 저장되어 있는 값이 반영됩니다. 결산분개를 일괄적으로 삭제하고 싶을 때에는 일반전표입력에서 자동분개 일괄검색하여 삭제할 수 있습니다. 혹시 다른 전표를 지우면 안 되니깐 전체취소를 누르고 결산분개에 체크 후에 삭제하시면 됩니다. 2. 제조원가명세서 매출원가를 확인해 주면 됩니다. (위 ..

법인 결산 [3] - 매입매출 정리

매출정리 법인 결산 중 입금내역에 관련된 매출정리를 해보겠습니다. 먼저 통장내역을 보겠습니다. 동탄역으로부터 입금액 18,138,090원이 있습니다. 통장에 입금되면 매출로 보고, 통장에서 출금되면 매입으로 봐야 합니다. 입금이 되었으므로 매출이고 따라서 보통예금의 상대 계정과목은 외상매출금[108]으로 분개를 끊어줍니다. 통장내용에 동탄역이라고 쓰여있으므로 외상매출금 중에 동탄역 관련 외상매출금이 있는지 확인해줘야 합니다. 거래처원장으로 와서 외상매출금으로 조회를 합니다. 그러면 외상매출금에 대한 내역들이 뜹니다. 동탄역 관련 외상매출금은 잔액이 18,138,090원입니다. 우리는 잔액 18,138,090원을 0원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세부내역을 보겠습니다. 이러한 내용이군요. 좀 전에 맨 위에서 7월..

법인 결산 [2] - 통장간 이체

통장간 이체부터 정리하면 좋은 이유 법인세 매입매출 결산을 하기 전에 먼저 해주면 좋은 작업은 통장간 이체내역들을 먼저 정리하는 것입니다. 통장을 정리할 때, 입금된 금액은 매출 관련, 출금된 금액은 매입 관련, 인건비 관련, 세금납부 관련으로 대략적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지만 통장이 여러 개 있어서 통장끼리 이체내역이 있다면 위처럼 정의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먼저 통장간 이체내역들부터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통장간 이체 정리하기 어느 통장부터 정리해도 상관없지만, 순서대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먼저 1번 통장에서 아래와 같이 전송해 줍니다. 차변 대변 보통예금 10,000 (거래처 : 2번통장) 보통예금 10,000 (거래처 : 1번통장) 전송 후, 2번 통장으로 가시면 4/9일 입금 분개가 중복전표..

법인 결산 [1] - 매입매출 개념정리

통장정리의 개념 - 매입/매출과 부가가치세 통장정리란 간단하게 말해서 재무상태표상의 자산/부채 계정과목의 잔액을 줄여나가는 것입니다. 먼저 매출이 발생했을 때를 살펴보겠습니다. 법인의 부가세 신고 시에 우리는 매출전표를 전송하면서 외상매출금을 만듭니다. 부가세 신고가 완료 되었다면 재무상태표에는 A회사에 대한 외상매출금 110이 남아있겠죠. 부가세신고를 마친 후에, 법인으로부터 통장내역을 받아 업로드합니다. 통장내역 중에 A회사로부터 입금된 110이 확인된다면, 외상매출금 110이 지워지는 분개를 합니다. 그렇다면 두 분개가 합쳐져서 현금분개처럼 되겠죠. 개인과 법인의 차이점이 이것입니다. 개인은 대부분 현금으로 분개를 끊기 때문에 통장정리가 필요 없습니다. 하지만 법인은 자산/부채로 분개를 끊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