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CPI 발표 결과 >
CPI 8.3 %로 컨센서스를 상회하면서 프리장에서 주식 폭락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CPI의 개념
오늘은 CPI 지수 발표일입니다.
CPI 발표 결과에 따라서 주가 변동폭이 매우 크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CPI 발표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CPI는 무엇일까요? Consumer Price Index : 소비자 물가 지수입니다.
미국 노동부에서 집계하는 지수로서 사람들이 일상에서 소비하는 다양한 상품들과 서비스들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식료품, 교통, 의료서비스 등으로 일상에서 사람들이 소비하는 서비스와 재화들의 평균 가격을 조사하여 그 값을 가중 평균하여 전반적인 평균 물가를 구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구한 소비자 물가지수는 인플레이션을 판별하는 중요한 지수가 됩니다.
CPI(YoY)
보통 CPI 수치는 YoY값을 이용합니다. YoY 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을 뜻합니다.
CPI(YoY)를 보면 21년부터 급등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21년 부터 인플레이션이 점점 심해지고 있었다는 것이죠.
연방준비위원회가(이하 연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 금리인상과 양적 긴축을 발표하면서 22년 초부터 미국의 주가는 곤두박질치기 시작합니다.
CPI consensus : CPI 예측치
여기서 예측이라고 쓰여있는 값을 컨센서스(consensus)라고 합니다. 컨센서스는 애널리스트 등이 추정한 전망치입니다.
- 6월 CPI를 보면 컨센서스는 8.8% 인데 실제 CPI는 9.1%로 발표되었습니다.
이러한 경우 컨센서스를 상회하였다고 말하고, 예측한 인플레이션보다 더 심각한 인플레이션 지수가 나왔으므로 주가는 폭락하게 되죠.
- 반면 7월 CPI 발표의 경우 컨센은 8.7% 였는데, 실제 CPI는 8.5% 로 발표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컨센을 하회하게 되고 이는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찍고 내려오는 듯한 모습을 보여주어 주가는 폭등하게 됩니다. 이처럼 인플레이션 시대에서, CPI 발표는 주식투자자들에게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발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CORE CPI :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한편, CPI 지수는 식품과 에너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전쟁이나 락다운같은 외부적 요인에 의해 높아지거나 낮아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하여 외부적 요인을 최대한 배제하고, 미국 내부의 인플레이션을 측정하기 위해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 물가인 코어 CPI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를 따로 분석하기도 합니다.
- 예를 들어 CPI는 증가하였지만 코어 CPI가 감소한 경우에는 전쟁으로 인하여 유가와 곡물가가 상승하여 CPI 지수는 높아졌지만, 코어 CPI는 낮아졌으므로 인플레이션이 해결되고 있다 라는 평가를 할 수 있는 것이죠.
'주식과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FED(연방준비제도), FRB(연준이사회),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0) | 2022.09.22 |
---|---|
8월 CPI 소비자물가지수 분석 (9월 13일 발표) (0) | 2022.09.14 |
인플레이션 감소에도 주가 폭락한 이유 -FedWatch Tool분석 (0) | 2022.09.13 |